2012년 로마에서 열린 국제음악학회(IMS)에서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와 유럽의 여러 학자들이 ‘동아시아 현대음악’에 대한 공동 프로젝트 발표를 진행한 이후 이 주제를 보완하여 내놓은 이 책은 서양의 영향을 받았으나 그것을 자국의 전통 음악과 혼합하여 재생산하고 재맥락화 하는 ‘한국·중국(대만 포함)·일본의 현대음악’의 상호문화성과, 각 나라의 음악적·문화적·민족적 특수성, 그리고 그 방향성 등을 논의한다.

 

 

I. 서론
1. 1960년대 이후 동아시아 예술음악에서의 신민족주의와 반본질주의, 그리고 음악학의 역할 (크리스티안 우츠 저/이혜진 역)
2. 현대 음악 속 동양과 서양의 만남: 포스트 식민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(존 코벳 저/이민희 편역)

II. 한국의 현대 음악
3. 나운영과 윤이상의 번진음 음악: 무조음악의 수용과 대응 (홍정수 저)
4. ‘이중 문화적 관현악 편성’에 나타난 ‘상호 문화성’: 한국의 동시대 음악 작품을 중심으로 (오희숙 저)
5. 진은숙의 음악언어, 추상화를 통한 재맥락화: 생황협주곡 <슈>를 한 예로 (서정은 저)
6. 전통 악기를 위한 아방가르드 음악: 황병기의 음악에 나타나는 확장된 기법들 (앤드류 킬릭 저/신상호 역)
7, 함께하는 이 순간: 국악 그룹과 작곡의 과정 (힐러리 핀첨 성 저/이현지 역)

III. 일본의 현대 음악
8. 서양 아방가르드 음악 속의 타케미츠 토루 (쵸키 세이지 저/배묘정, 최수련 역)
9. 상상 속에 존재하는 동양의 노래: 사카모토 류이치와 미와 마사히로, 그리고 포스트모던 시대의 일본 음악
(오카다 아케오 저/김소이 역)
10. 음악과 자연의 밀접한 관계: 호소카와의 음악에 나타난 문화적 정체성의 개념 (외른 피터 히켈 저/원유선 역)
11. 케이지의 위치를 재정립함으로써 전후 일본의 아방가르드 음악을 다시 자리매김하다: 소게츠 아트센터와 자연 발생성의 미학 (후쿠나카 후유코 저/강나원 역)

IV. 중국의 현대음악
12. 문화적 경계와 국가적 경계: 탄둔, 첸이, 브라이트 쉥의 최근 작품들 (낸시 Y. 라오 저/배묘정 역)
13. 글로벌 시대의 음악적 판타스마고리아: 탄둔의 <지도>와 음악 재료의 환경정치 (양 첸-창 저/이지연 역)
14. 정격성의 가능성: 붓다 머신에서 울리는 사회주의 중국 (샘슨 영 저/하지혜 역)
15. 부재중인 영웅: 장원예의 끝나지 않은 음악여정과 모더니티라는 미완성 프로젝트 (양 첸-창 저/이가영 역)

 

2015,07.20. (공저) “현대 음악 속 동양과 서양의 만남: 포스트 식민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”, 『글로벌 시대의 동아시아 현대음악』, 파주: 음악세계. https://www.yes24.com/Product/Goods/19358527

 

글로벌 시대의 동아시아 현대음악 - 예스24

이 책은 이러한 물음에 대한 고민의 결과물이다. 2012년 로마에서 열린 국제음악학회(IMS)에서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와 유럽의 여러 학자들이 ‘동아시아 현대음악’에 대한 공동 프로젝트 발표

www.yes24.com